• CNC 자동선반 •
1) 출발 - 배면에 사각형 가공하기
2) 좌표평면과 공구경로
프로그램중 공정을 시작하기 위해, M50 ; G28 H0 ; 등의 블록들을 먼저 지령합니다. 그 후 G12.1 을 지령하면, 당시의 C 좌표(각도) 위치와 관계 없이 다음 그림과 같은 축 관계가 생성됩니다.
이 때 생성된 위의 그림과 같은 좌표계는 G13.1 의 지령이 나타날 때까지 유효하며, 공구의 움직임을 위해 제품 중심에 기준한 좌표계입니다. 실제로 앞 페이지의 사각형을 가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데, 공구 경로는 아래 그림과 같이 좌표축의 밑그림을 그린 상태에서 결정합니다. (단, 여기서 사각형의 크기는 8.0x8.0mm 로 가정합니다.)
T2626 ; G0 X-20. ; (1) (공구직경+재료직경+여유) G0 Z-3.0 ; M50 ; G28 H0 ; G12.1 ; G41 G98 G1 X-14. F500 ; (1’) ((1)에서 공구직경을 뺀 치수) C4.0 F500 ; (2) X8.0 F100 ; (3) C-4.0 ; (4) X-8. ; (5) C5. ; (6) C10. F2000 ; (공구가 재료를 충분히 벗어 나도록 C 좌표 지정) (7) G40 C12.0 ; G13.1 ; G28 W0 ;
위의 그림에서와 같은 방향일 때, G41 입니다. 반대 방향이 G42 입니다. 옵셋화면 에서 R 값은 공구의 반경값을 넣어 주시고, T 값은 0 을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주주의: 부품 중심에 가까울수록 피드값(F)의 한계가 줄어 듭니 다. 즉, 중심에서 먼곳에서 사용했던 피드값을 중심 근처에서 사용할 때 알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구 의 중심이 부품의 중심을 지나갈 수 없습니다. 역시 알람이 발생합니다.
3) 원호보간 방향과 인선R보정을 위한 주의
참고로 이 평면에서 원호보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때는 C 축을 Y 축과 같이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즉, 정상적인 X-Y 평면과 비교했을 때, 뒤집힌 모양이 되기 때문입니다.
상기 예제 프로그램에서는 G41 을 사용하였습니다. G41 을 사용하여 도면치수대로 프로그램을 하여야 하며, 그러지 않으면 공구 마모에 따른 보정이 힘듭니다. G41 이나 G42 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시작) 공구경로를 설정할 수 없습니다.
공구경로의 시작부분은 앞 페이지의 그림과 같이 설정해야 합니다. 실제 공구는 다음과 같이 움직입니다.
여기서 지점(1)과 지점(1’)의 관계를 살펴 보겠습니다. 지점(1) X-20.0 은 재료직경 12.0 + 공구경 6.0 + 여유공 간 2.0 입니다. 지점(1’) X-14.0 은 G41 이 지령된 뒤 다시 그 지점을 선언하는 것으로, 재료직경 12.0 + 여유공 간 2.0 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지령하면 안전하고 예측이 가능하며 비교적 짧은 경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여기서 (1’)을 생략하고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 하면, 아래와 같은 실제 공구 경로를 얻습니다.
정리:
이상에서 보듯이 극좌표보간은 X 와 가상의 C 축으로 이루어진 평면에 공구의 경로를 설정하여 그 좌표값으로 프로그램 하면, (극좌표를 사용하는 중간과정은 관여할 필요가 없이) 결과적으로 원하는 형상을 가공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앞서 언급 한대로 중간 계산과정에서 또 좌표 표시화면에서 극좌표계가 사용이 되지만, 프로그램을 작성하기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극좌표계는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상기의 예에서와 같이 X-C 로 이루어 지는 좌표평면에서 G41/G42 방향성을 고려하여 공구 경로를 설정하면 됩니다. 다시 한번 언급하자면, 여기서 C 는 각도가 아니며, 실제 존재하지 않지만 프로그램상 공구경로 구성에는 관여가 되는 축입니다. 그래서 가상축이 라고 부릅니다. 이 극좌표 보간을 이용하면, 위와 같은 단순한 형상 뿐만 아니라, 여러 복잡한 형상을 절삭할 수 있습니다.
• Turn/Mill •
|
CNC 자동선반 배우기, 복합 CNC 자동선반 배우기
' ◆ 극좌표 보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면 극좌표 보간 (G12.1/G13.1) (0) | 2012.07.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