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사는 인천 남동공단에 위치한 절삭 정밀가공 업체로, 전 기종이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무인

가동되며 혁신적으로 작업인원을 최소화함으로서 "고객의 품질 신뢰성 확보" "부품의 COST

절감" 의 최소 가격으로 대량 주문생산하고 있습니다.

각종 전자부품,자동차부품,의료기기 부품 및 휴전전화부품,콘넥터등을 주 생산 품목으로 하고

있으며주요 생산설비로는 첨단 복합CNC 자동선반 6대, CAM식 자동선반 16대등,각종 검사장

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가공은 외경 Φ25 이하만 가능하며 기계부품의 경우 소량생산도 가능합니다.

생산가능부품

컨넥터,자동화 설비부품,반도체부품,특수볼트,너트,의료기기부품,인서트,초소형 전자부품

기계부품 등~

 

본사 : 인천시 남동구 논현동 429-11

남동테크노파크 B동101호

032) 468-7333

FAX:032) 468-7335

H.P:010-5301-3873

E-Mail:swshm2@naver.com

 

 

 

 

 

 

 

 

• CNC 자동선반 •
 
   

윤곽제어의 일종인 원통보간을 이용하는 방법을 살펴 봅니다. 원통보간은 크로스 공구로 원통면에 가공을 하는 것으로, Z 축과 C 축을 이용합니다. 개념적으로는 원통면에 글자를 마킹하는 것과 같습니다. 실제로 원통보간으로 볼엔드밀등을 이용하여 상표나 사양을 마킹하기도 합니다. 여기서는 개념적 접근을 위해 아래 펼친 그림과 같이 간단한 제품을 가공하는 것으로 하고 공정 프로그램을 알아 봅니다.

 

               

          

 

도면의 각도 표시와 마찬가지로 기계에서 C축 좌표는 각도로 지정합니다. C축의 방향은 위 그림 오른쪽과 같고, 그림과 같이 Y 축이라 간주하고 G02 와 G03 의 방향을 잡으면 됩니다. 원통보간 시의 좌표계를 좀 더 자세히 나타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공정 진행 순서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입구의 2-R0.5 는 원통보간을 쓰지 않고

Y-Z 평면을 이용하여 가공합니다.

 

 

 

T0808 M5 ;

M50 ;

G28 H0 ;

M23 S4000 ;

G50 W-11.0 ;

G0 X14.0 Z-2.0 ;

G19 H0 W0 ;

G7.1 C6.0 ; (또는 ‘G107 C6.0 ;’)

G98 G1 X8.0 F1000 ; (1)

Z4.5 F100 ; (2)

G2 H14.324 W1.5 R1.5 F100 ; (3)

G1 C60.0 F100 ; (4)

X14.0 F1000 ; (5)

G7.1 C0 ; (또는 ‘G107 C0 ;’)

G0 C0.0 ;

G0 Z-1.0 Y-1.5 ; (6)

G98 G1 X8.0 F200 ; (7)

G19 G03 Z0.5 Y0.0 R1.5 F100 ; (8)

G02 Z-1.0 Y1.5 R1.5 F100 ; (9)

G1 X14.0 F500 ;

G18 G0 X60.0 ;

M25 ;

M51 ;

G50 W11.0 ;

T0 ;

 

R1.5 를 C 축 방향의 양(각도)으로 전환

1.5 : (12.0 x 3.14159) = h : 360

h = (1.5/(12x3.14159)) x 360

= 14.324

 

원통면상 거리:원주=원통면상 각도:360

 

 

 

 

 

 

 

원통위에서 공구경로가 진행되고 NC 가 통제하기 때문에 원통보간이라고 합니다.

그림에서 본 바와 같이 C 축을 명령하면, 회전 방향으로 축이 움직이게 됩니다. 해당 G 코드는 G107(G7.1)이며 형식은,

 

G19 H0 W0 ;

G107 (G7.1) Cx.xxx (Hx.xxx) ;

~

G107 (G7.1) C0 (H0) ;

 

 

- NC 설정에 따른 평면선언

- 시작

 

- 종료

 

 

여기서 C 와 H 에 따라오는 값은 피드 계산을 위한 원통의 반지름입니다. 0 의 값으로 다시 한번 선언하면 원통보간이 종료됩니다. (원통보간중에 프로그램이 중단 되면,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하기 전에 MDI 에서 ‘G7.1 H0’를 선언하거나, 프로그램 서두에 넣어서 초기화 해야 합니다.) 여기서 C 나 H 도 별다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이 원통 반지름을 표시하며 기능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는 역할을 할 뿐입니다.

원통보간 모드에서는 급이송(G0), 회전당이송(G99)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인선 R보정(G41/G42)을 사용하려면 원통보간 모드 중에 시작하고 끝내야 합니다.               

 

 

 

 

• Turn/Mill • 

 

 

 

 

 

 

     

 

 

  

 

• Milling • 

 

 

%
O0079 (G107 TEST)
T1 M06 (.625 DIA. 2FL E.M.)
G00 G40 G49 G80 G90
G28 G91 A0
G90
G00 G54 X1.5 Y0 S5000 M03
G107 A0 Y0 R2.
G43 H01 Z0.25
G01 Z-0.25 F25.
G41 D01 X2. Y0.5
G03 X1.5 Y1. R0.5
G01 X-1.5
G03 X-2. Y0.5 R0.5
G01 Y-0.5
G03 X-1.5 Y-1. R0.5
G01 X1.5
G03 X2. Y-0.5 R0.5
G01 Y0.
G40 X1.5
G00 Z0.25
M09
M05
G91 G28 Z0.
G28 Y0.
G90
G107
M30
%

CNC 자동선반 배우기, 복합 CNC 자동선반 배우기

 

출처 : 진정한 기능의 세계
글쓴이 : grnfield 원글보기
메모 :

공차 기호의 의미와 선정가이드

 

 

치수 공차의 폭이 대략 0.1mm 이상인 경우는 기준 치수에 +/-공차값이 균등하거나, 어느 한쪽만을(+ or -)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공차가 100분대 (0.01 ~ 0.09mm)와 1,000분대 (0.001 ~ 0.009mm)로 상당히 정확도가 높은 경우에는 공차를 어떻게 결정 표기하면 좋을까요?

이렇게 보다 정확한 치수 공차가 필요한 경우에 공차기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공차기호는 구멍과 축의 치수공차기호로 표기합니다.

공차기호에 따라 치수공차가 표준화되면 절삭 공구와 재료, 게이지 등을 세계적으로 표준화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차기호는 다음과 같은 원통형 축과 원통형 구멍 이외에 홈 폭이나 기둥 폭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 1).

 

그림 1 공차기호를 사용할 수 있는 원통 축, 원통 구멍, 홈 폭이나 기둥 폭


 

 

 

공차기호의 의미

공차기호는 기준치수(공칭 치수라고도 한다)뒤에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으로 표현합니다.

구멍 (또는 홈폭)에 공차기호를 지시하는 경우, 대문자 사용합니다.(그림 2).

 

그림 2 대문자를 사용한 구멍의 직경공차기호


 


 

축경(또는 모서리 폭)에 공차기호를 지시하는 경우, 소문자를 사용합니다.(그림 3).

 

그림 3 소문자를 사용한 축의 직경공차기호


 

 

 

그럼 공차기호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알파벳의 의미

알파벳은 수치로 나타낸 기준치수의 편차입니다.

아래의 그림 4에서 구멍에 "H"가 지시되는 경우 기준치수에서 +쪽에 공차가 존재하며, "K"가 지시되는 경우 기준 치수에서 -쪽에 공차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구멍과 축에서 숫자는 같지만, +/-가 반대인 특징이 있습니다.

 

그림 4 수치로 나타낸 기준치수의 편차를 나타내는 알파벳 기호의 의미


 

 

 

수치의 의미

알파벳 뒤에 오는 숫자는 공차의 폭을 나타냅니다. 이 수치는 IT 공차등급표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수치가 클수록 공차의 폭이 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IT 공차 등급은 ISO가 규정하는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공차등급으로 IT는 International Tolerance의 약자입니다.

 

그림 5는 IT 공차등급표입니다.

가로축에있는 IT 공차 등급의 값이 커지면 하단에 표시된 수치가 커지는 것이 보입니다.

그리고 랭크 A ~ D의 수치의 단위는 μm (마이크로 미터)입니다.

정확한 공차를 설정하는 경우, 어느 정도의 공차폭이 경제적인지, 가공이 어려워지는지 등 기준이 없다면, 설계가 어려워집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IT 공차등급표를 참조 할 수 있습니다.

 

그림 5 IT 공차등급표


 

 

 

구멍의 공차 표 읽는 법

그림 6은 구멍의 공차를 나타낸 표 일부입니다.

구멍의 경우, Js가 기준치수에 대한 공차가 +/-값이 균등한 반면, 알파벳 A로 갈수록 공차영역이 +쪽으로 치우치는 것이 보입니다.

마찬가지로 아래 표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Js에서 Z로 갈수록 공차영역은 -쪽으로 치우치게 됩니다.

 

그림 6 구멍의 공차 테이블의 일부


 

 

 

그러면 구멍의 공차 표를 해석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φ10H7"로 도면에 기재되어있는 경우 어느 정도의 공차가 될지요?

위의 표 (그림 6) 빨간 테두리 부분을 확인하면 치수 공차는 "0 ~ + 15μm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을 mm 단위로 고쳐 치수를 표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 7).

 

그림 7 구멍의 공차 표를 사용하여 공차치수를 기입한 예


 

 

 

축의 공차 클래스 표 읽는 법

그림 8은 축의 공차 테이블의 일부입니다.

축의 경우 js가 기준치수에 대한 공차가 +/- 균등하게 할당된 반면, 알파벳 a에 가까운수록 공차 영역이 -쪽으로 치우친 것이 보입니다.

마찬가지로 아래 표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js에서 z쪽으로 갈수록 공차 영역은 +쪽에 치우치게 됩니다.

 

그림 8 축의 공차 테이블의 일부

 

 

 

그러면 축의 공차 표를 해석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φ10h7"로 도면에 기재되어있는 경우 어느 정도의 공차가 될지요?

위의 표 빨간 테두리 부분을 확인하면 치수공차는 "0 ~ -15μm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을 mm 단위로 고쳐 치수를 표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 9).

 

그림 9 축의 공차 표를 사용하여 공차치수를 기입한  예


 

 

 

여기에서 구멍의 공차기호 "H7"과 축의 공차기호 "h7 '을 비교해 보면 숫자는 같고, +와 -가 바뀌어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구멍과 축이 +/-가 반대인 것을 유의하세요.

 

공차기호를 사용한 끼워맞춤에는 다음의 3 종류가 있습니다.

 

· 헐거운 끼워맞춤 (그림 10)

· 억지 끼워맞춤 (그림 11)

· 중간 끼워맞춤 (그림 12)

 

위의 관계는 기준치수의 편차그래프를 보면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그림 10 헐거운 끼워맞춤


 

 

 

 

헐거운 끼워맞춤은 구멍과 축을 조립했을 때 두 맞춤 부에 항상 틈새가있는 경우가 됩니다.

 

그림 11 억지 끼워 맞춤

 

 

 

억지 끼워맞춤은 구멍과 축을 조립했을 때 두 맞춤 부에 항상 죔새가 생기는 경우입니다.

 

 

그림 12 중간 끼워맞춤

 

 

 

 

중간 끼워맞춤은 구멍과 축을 조립했을 때 두 끼워 맞춤 부에 틈새 또는 죔새가 있는 경우입니다.

 

제도의 규칙은 아래 그림 (그림 13)의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 치수에 공차기호를 넣으면 됩니다.

그러나 아래 그림 (그림 13)의 오른쪽에 같이 공차기호와 공차값을 같이 명기하면 가공 및 검사에 대해 친절한 도면이 되겠죠.

 

그림 13 기준 치수에 공차기호와 공차값을 명기 한 예


 

 

 

공차기호는 세계 공통입니다.

위치결정 등 설계 의도를 제대로 표현하기 위해 끼워맞춤의 관계를 올바르게 선택해야 합니다.

 

다음은 치수 공차를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하는 면고르기 기호의 의미와 사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https://youtu.be/RwMfwd2i6Jc

단위환산표 

 

무게 넓이 부피 단위환산

 

 

 

 

(1) 길이

단위

cm

m

in

ft

yd

mile

1 cm

1

0.01

0.3937

0.0328

0.0109

-

0.033

0.0055

0.00009

-

1 m

100

1

39.37

3.2808

1.0936

0.0006

3.3

0.55

0.00917

0.00025

1 in

2.54

0.0254

1

0.0833

0.0278

-

0.0838

0.0140

0.0002

-

1 ft

30.48

0.3048

12

1

0.3333

0.00019

1.0058

0.1676

0.0028

-

1 yd

91.438

0.9144

36

3

1

0.0006

3.0175

0.5029

0.0083

0.0002

1 mile

160930

1609.3

63360

5280

1760

1

5310.8

885.12

14.752

0.4098

1 尺

30.303

0.303

11.93

0.9942

0.3314

0.0002

1

0.1667

0.0028

0.00008

1 間

181.818

1.818

71.582

5.965

1.9884

0.0011

6

1

0.0167

0.0005

1 町

10909

109.091

4294.9

357.91

119.304

0.0678

60

60

1

0.0278

1 里

392727

3927.27

154619

12885

4295

2.4403

2160

2160

36

1

 

(2) 무게

단위

g

kg

ton

그레인

온스

lb

1 g

1

0.001

0.000001

15.432

0.03527

0.0022

0.26666

0.00166

0.000266

1 kg

1000

1

0.001

15432

33.273

2.20459

266.666

1.6666

0.26666

1 ton

1000000

1000

1

-

35273

2204.59

266666

1666.6

266.666

1 그레인

0.06479

0.00006

-

1

0.00228

0.00014

0.01728

0.00108

0.000017

1 온스

28.3495

0.02835

0.000028

437.4

1

0.06525

7.56

0.0473

0.00756

1 lb

453.592

0.45359

0.00045

7000

16

1

120.96

0.756

0.12096

1 돈

3.75

0.00375

0.000004

57.872

0.1323

0.00827

1

0.00625

0.001

1 근

600

0.6

0.0006

9259.556

21.1647

1.32279

160

1

0.16

1 관

3750

3.75

0.00375

57872

132.28

8.2672

1000

6.25

1

 

(3) 부피

단위

in³

ft³

yd³

gal(美)

1 홉

1

0.1

0.01

180.39

0.00018

0.18039

11.0041

0.0066

0.00023

0.04765

1 되

10

1

0.1

1803.9

0.00180

1.8039

110.041

0.0637

0.00234

0.47656

1 말

100

10

1

18039

0.01803

18.039

1100.41

0.63707

0.02359

4.76567

1 ㎤

0.00554

0.00055

0.00005

1

0.000001

0.001

0.06102

0.00003

0.00001

0.00026

1 ㎥

5543.52

554.325

55.4352

1000000

1

1000

61027

35.3165

1.30820

264.186

1 ℓ

5.54352

0.55435

0.05543

1000

0.001

1

61.027

0.03531

0.00130

0.26418

1 in³

0.09083

0.00908

0.0091

16.387

0.000016

0.01638

1

0.00057

0.00002

0.00432

1 ft³

156.966

15.6666

1.56966

28316.8

0.02831

28.3169

1728

1

0.03703

7.48051

1 yd³

4238.09

423.809

42.3809

764511

0.76451

764.511

46656

27

1

201.974

1 gal(美)

20.9833

2.0983

0.20983

3785.43

0.00378

3.78543

231

0.16368

0.00495

1

 

(4) 넓이

단위

평방자

단보

정보

a(아르)

ft²

yd²

acre

1 평방자

1

0.02778

0.00009

0.000009

0.09182

0.00091

0.98841

0.10982

-

1 평

36

1

0.00333

0.00033

3.3058

0.03305

35.583

3.9537

0.00081

1 단보

10800

300

1

0.1

991.74

9.9174

10674.9

1186.1

0.24506

1 정보

108000

3000

10

1

9917.4

99.174

106794

11861

2.4506

1 ㎡

10.89

0.3025

0.001008

0.0001

1

0.01

10.764

1.1958

0.00024

1 a

1089

30.25

0.10083

0.01008

100

1

1076.4

119.58

0.02471

1 ft²

1.0117

0.0281

0.00009

0.000009

0.092903

0.000929

1

0.1111

0.000022

1 yd²

9.1055

0.25293

0.00084

0.00008

0.83613

0.00836

9

1

0.000207

1 acre

44071.2

1224.2

4.0806

0.40806

4046.8

40.468

43560

4840

1

 (※참고 : 1 hectare(헥타르) = 100 are= 10000 ㎡)

 

(5) 온도

섭씨(℃) → 화씨 (℉)

℉ = {(9/5)×℃}+32

화씨(℉) → 섭씨(℃)

℃ = (5/9) ×(℉-32)

 

 

각종 도형의 면적 구하는 공식

 

직삼각형 : 밑변 × 높이 ÷ 2

정삼각형 : 밑변 x 높이  x 1/2


 

사각형 : 가로 × 세로

평행사변형 : 밑변 × 높이

사다리꼴 : (윗변 + 아랫변) × 높이 ÷ 2


 

원의 넓이 : 반지름 × 반지름 × π(약3.14)

원의 둘레 : 지름 × π


 

부채꼴 넓이 : 반지름 × 반지름 × π(약3.14) × 중심각/360

부채꼴의 호 : 지름 × π × 중심각/360

--------------------------------------------------------

 

 

평면도형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 수의 공식과 그로 인해 만들어지는

삼각형의 개수를 구하는 공식입니다.

직선을 n이라고 하면,

만들어지는 삼각형의개수 : n-2 개

한점에서 그을수있는 대각선의수 : n-3 개

그 도형의 총 대각선의 개수 : n×(n-3)÷2 개

-----------------------------------------------------------

 

도형의 둘레를 구하는 공식

=(가로+세로)*2

-------------------------------------------------

 

부피 구하는 공식

사각형:밑넓이 x 높이
정사각형: 밑넓이 x 높이 (가로^3) 3제곱을 뜻함

삼각뿔:밑넓이 x 높이 x 1/3


 

원기둥:파이x반지름의 제곱x높이


 

구의 부피: 3/4 x 파이 x 반지름의 세제곱

------------------------------------------------

 

 

어것은 좀 어렵습니다

 

   도형의 면적 계산식 예시


학교를 졸업한지도 오래되다 보면 간단한 기본 공식도 이제 아물아물 하죠?
업무상 가끔은 사용하게 되는 면적계산과 관련된 기본 공식들을 소개합니다.

본 페이지에서 사용하는 기호는 아래와 같습니다.
  A : 면적 (Area)
  a : 밑변길이
  h : 높이 (height)
  d : 지름 (diameter)
    : 반경 (radius)
  U : 원둘레
  π : 원주율 (= 3.14159 )

 

삼각형

A = a x h / 2

사각형

A = a x h

사다리꼴

A = (a + b) x h / 2

평행사변형

A = a x h = a x b x Sin

A = π x  x  / 4 

   = π x / 4 ≒ 0.785


U = π x

고리

A = π x ( ) / 4 

   = π x ( ) x / 2

부채꼴

A = π x x  / 360

   = 0.00873 x x  

   ( = 각도(degree),  π = 3.14159 )

= π x  x  / 180 = 0.0175 x  x  

원호

A = (π x / 180 - sin  ) / 2

   ≒  x  x [ 0.667 + ]

선분 = 2 x  x sin ( / 2 )

호의 높이 =    x ( 1 - cos ( / 2 ))

육각형

A = x  / 2

   ≒ 0.866 x  

e = 2 x / ≒ 1.155

타원형

A = π x x / 4

   ≒ 0.785 x x  

U ≒ 0.75 x π x ( ) - 0.5 x π x

 

   도형의 체적 계산식 예시


업무상 가끔은 사용하게 되는 체적계산과 관련된 기본 공식들을 소개합니다.

본 페이지에서 사용하는 기호는 아래와 같습니다.
  V : 체적 (Volume)
  M : 측면적 (상하 단면을 제외한 측면의 표면적을 의미, lateral area)
  S : 표면적 (상하 단면을 포함한 전체 표면적, Surface area)
  A : 면적 (Area)
  a : 밑변길이
  h : 높이 (height)
  d : 지름 (diameter)
    : 반경 (radius)
  U : 원둘레
  π : 원주율 (= 3.14159 )

 

 

 

원기둥(환봉)

V = π x  x h ≒ 0.785  x h

M = π x x h

S = π x x ( /2 + h)

 

 

사각뿔

V = a x h / 3

 

 

원뿔

V = π x  x h / 12 ≒ 0.262  x h

M = π x x s / 2 = 0.785 x

S = π x x ( /2 + s) / 2

 

 

원뿔대

V = π x h x ( x  + ) / 12
   ≒ 0.262 x h x ( x  + )

M = π x ( + ) x s / 2

S =

 

 

V = π x / 6 ≒ 0.524

S = π x

 

 

구 조각

V = π x x (3 x ) / 6
   = π x x (3 x ) / 3

M = 2 x π x = π x (

 

 

부채꼴 구

V = 2π x x / 3
   = 2.094 x x

S = π x x (2 + )

 

 

평행으로 잘린 구

V = π x ( ) / 6

M = 2 x π x  

 

 

V = x x  / 4 = 2.467 x x

S = x x  = 9.870 x  x

 

 

육각기둥

V = x x  / 2

S = ( x  / 2) x 2 + 6 x s x /

   ≒ 1.732 x  + 10.392 x s x

표면적(S) 과 대변길이(s)를 잘 구분하세요.

 

 

중공축

V = π x ( ) x / 4 

   = π x ( ) x x / 2

***************************************************************

 

 

 

◎ 철판 무게 구하는 공식


철은 재료에 따라서 비중이 틀리기 때문에 비중에 따라 무게도 변합니다.

철은 일반적으로 45C 기준으로 합니다.

45C 재료라고 가정하여 계산하면(단 'm'를 m/m 로 환산하여 계산합니다)

가로*세로*높이*비중 [길이 x폭x두께x비중(철의 비중 7.85)] = 무게 입니다.

가로(2,440,000m/m)*세로(1,220,000m/m)*높이(6,000m/m)*비중*(7.85)/1000000=140,207kg(140.207톤) 입니다.


(금속의 비중)

 

13Cr 스텐레스강 K 410 : 비중 7.75

18Cr 스텐레스강 K430 : 비중 7.7

 .

18-12-Mo스텐레스강 K 316:비중 7.98

티타늄 :비중4.4

니켈 :8.9

구리 : 8.96

알루미늄 :2.71

탄소강 0.05% :7.86

 



원형으로만들어진철판에무게구하는방법


원의 지름과 두께만 있으면 됩니다.

원의 면적과 두께를 알면 부피를 알 수 있고, 부피에 밀도만 곱하면 질량이 나옵니다.


원의 지름이 1.936 m 이므로 원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에 의해 3.14*1.936*1.936/4=2.942 m^2 이고요, 두께가 3.2t이므로 0.0032 m입니다. 그래서 원의 면적과 두께를 곱하면 부피는 0.00942 m^3이 나옵니다.


철의 밀도가 보통 1 m^3의 부피당 7800 kg이므로 이 값을 부피에 곱하면 73.44 kg 정도 나오네요. 


비중은 같은 부피를 갖는 물의 무게와의 비를 얘기하는데, 여기서는 밀도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비중 7.85를 사용하셔도 되겠지만, 물의 무게가 온도나 압력의 영향을 받거든요. 철은 별로 영향을 안받죠. 흔히 사용하는 철 재료의 밀도를 사용하셔도 큰 차이가 없을 겁니다.

 

....................................................................................

 

 

표로 보면(예를 들어 본다면)

 

중량 구하기표  (재질:SS400)-일반 철판
 
                   
  ※노란색에 값을 입력할것.                
                       
  가로 세로 높이 SS400중량 합계 수량 총합계      
  375 375 9 7.85 0.000001 9.935156 5 49.67578      
                       
                       
                       
                       
 
중량 구하기표  (재질:SUS):스텐레스
 
                   
  ※노란색에 값을 입력할것.                
                       
  가로 세로 높이 SUS중량 합계 수량 총합계      
  400 340 50 7.93 0.000001 53.924 2 107.848      
                       
                       
                   

 

...................................................................................................................................




그냥 비중에다가 부피 곱하면 되는거예요.


밀도 = 질량 / 부피 이니까


질량 빼고 부피 좌변으로 이동하면,

 

질량 = 부피* 밀도(여기서 비중)


단위계산 해볼까요 ?

 

 


비중 ( kg/m세제곱) * 부피 ( m세제곱) = kg 나오죠?


따라서 원통 부피로 생각하시고 구하면 됩니다.


( 밑면 반지름 r 이고 높이 h 인 원통 부피 = 파이*알제곱*에이치 )

아마 몇톤정도 나오겠지요.

 


부채꼴모양의원형철판구하는방법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단면적(A) =1/2 {r*L - c (r-h)}

 =1/2{0.968*2.456-1.848(0.968-0.68)}

 =0.9235m2


중량구하는 공식 = 단면적 * 두께 * 비중

 = 0.9235 * 3.2 * 7.93

 =23.44kg


고로 부채꼴 SUS철판 1개의 중량은 23.44KG입니다.



○ 예문


스테인리스판 1t*1000*2000(mm)의 중량...

1(t)*1000(폭)*2000(길이)*7.93(스텐레스304비중)/1000000=15.86Kg(중량)

2T에 같은 1*2판이면 15.86*2=31.72Kg

3T면 15.86*3=47.58Kg

4T면 15.86*4=63.44Kg

이 되겠습니다

스텐304가 보통 쓰시는것일테구요

제가 다뤄본 스텐중에 430도 있었는데 그것은 비중이 7.75입니다.

강종에 따라 비중이 다르니 그것은 따로 알아보셔야합니다

 

 


알루미늄판 3t*3"*6"(자)의 중량...

 

3(t)*914(3자:폭)*1829(4자:길이)*3(AL5052비중)/1000000=15.05Kg(중량)

4T도 같은방법으로 계산해보시면 나올꺼고요 한번해보세요



다해보시면 비중만 다를뿐 계산하는방법은 같죠

면적에 두께를 곱해서 비중곱해주고 백만으로 나누면 되요

비중만 알면 그 후 계산은 쉬우실꺼에요

참고로 3"*6"은 일반철판과 AL 자재에서만 규격으로 나와요

스텐레스는 3"*6"으로 안하고 1000mm*2000mm로 사용해요

보통 1*2라고 하는데 그건 1"*2"가 아닌 1000*2000 인걸 알고 계시면 쪽팔림당할일은 없음

 

 


스텐레스파이프 중량

 

(38.1(외경)-1.2(t))*1.2(t)*0.02491*6(M)=6.62Kg(중량) 입니다

 

 



환봉계산법

10A는 A라는것 자체가 환봉에서 쓰이는 규격이 아니니 예를 따로 들겠습니다


예)

Ø10 * 6M(1本) 일경우

답변)

(10(외경)*10(외경))*0.785(3.14/4로 계산해도됨)*7.93(스텐304비중)/1000*6(M)=3.74Kg(중량)

되겠습니다

 

 



○ 속이 빈 원뿔대 무게 구하는 방법


높이 h=250 mm = 0.25m

밑면 지름 R = 5800mm = 5.8 m

윗면 지름 r = 1100mm = 1.1 m


<원뿔대 겉면적(S) 구하는 공식>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의 공식에서

겉면적S를 구하면 : 171.12 ㎡

여기서 두께 0.009를 곱하면 (9t=9mm=0.009m)


속이빈 원뿔대의 겉체적은 1.54㎥


여기서 철판의 경우 1㎥ = 7.85 Ton


결국 무게는 약 12 Ton입니다.




○ 견적작성


본 견적방법은 중소기업 50명 이하 생산업체 기준이며 적절한 생산 용어를 알고 있어야만 정확한 견적을 낼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1 . 용어의 정의

1)체적 : 철판이 차지하는 전체의 크기

체적 계산법 : (두께*가로*세로)

2)비중 : 같은 체적의 물에 비해서 철판의 무게비

철판의 체적 7.86 (즉 물보다 7.86배 무겁다는 뜻)

3)소요량 : 제품을 만드는데 필요로하는 양

4)단가 : KG당 일반 시중 구매가격임.

5)스크랩 : 철판원자재 에서 필요한 만큼만 뺀 나머지 잔량분

2 . 재료비 = (철판의 무게 * 단가)


3 . 철판의 무게 구하는 공식(KG)

(체적<두께*가로*세로>*7.86)/1000000

4 . 일반적으로 시중에 나오는 철판의 규격은 4'*8'이 대표적이며

1'는 304mm이므로 1219*2438 임.

5 . 따라서 철판 1장에 필요한 제품이 몇개가 나오는지를 산출해야

손해를 보지 않음.

6 . 스크랩 회수비는 스크랩 잔량 만큼 일반 시중의 고철값을 계산한것임.




응용문제

문) . 병따게 한개를 만드는데 들어가는 재료비를 뽑아라

1)제품 블랭킹 치수는 3.2t*100*50 이다

2)원자재규격은 4*8 이며 단가는 kg당 1000원이다.

답) 일반적으로 블랭킹 치수에서 좌우 각각5mm씩 더하고 전후 5mm를 더한다

이것은 블랭킹을 하기위한 소재의 여유분이다

따라서 1차 샤링을 하기위한 치수는 110 이 된다

1차 샤링되어진 110*1219 에서 50+5=55씩 블랭킹 한다면 1cut에

20개가 나온다

따라서 4'*8'에 24*20개 이므로 480개가 나온다

철판 1장 무게가 73.7kg이므로 73.7/480= Xkg 이므로

Xkg*1000원 =1000X원이 된다



& 500파이 25티 철판의 중량을 좀구할려고합니다.

철의 비중: 7.85

무게= 부피 x 비중

부피= 넓이 x 두께

넓이= πr²

 = 3.14 x 250 x250

 = 196250mm²

 = 1962.5cm²

부피= 1962.5 x 2.5

 = 4906.25cm³

무게= 4906.25 x 7.85

 = 38514.0625 g

 = 38.5140625kg

 = 38.5kg

 

******************************************************************************

면적_구하는_공식-khjee0607(1)(1).xls

 

*******************************************************************************

원의 둘레(길이) =지름*3.14

원의 넓이(면적) =반지름*반지름*3.14

 

원의 부피 구하기

 

높이가 9m  * 지름이 6m의 원의 부피는?

부피 = (밑면적 × 높이)

 

        =  28.26 M2 × 9.0M = 254.34 M3

 

밑면적 = (3.14 × 지름^2) / 4

 

           = (3.14 × 6.0 ^2)/ 4 = 28.26 M2

*********************************************************************************

면적 구하기

 

 

지붕면적(R) 구하는 o3n3 R.A.T. 공식

 

      R = P * n * r


      (  R: 지붕의 정물량            P: 지붕이 덮고있는 바닥 평수)

      (  n: Slope에대한 상수       r: Over Hang에대한 상수)

 

Ex: 지붕이 덮고있는 바닥면적이 30평이고 처마(Over hang)가 600, 경사(Slope)가 6/10일경우 지붕면적은?
   

     풀이:    R(지붕면적)= 30평*1.166(n 값) * 1.2544(r 값) = 43.88평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각종 재료 물질의 비중

 철과 강
 

품명
비중
품명
비중
품명
비중
순                      철(순   철)  
주                      철(주   철)  
강            (강   철)  
特   殊   鋼 Ni-Cr 鋼(특수鋼)  
    "         Si-Cr         "       
"         Cr-Ni-W    "       
    "        珪 素  鋼(규소鋼)  
 "   텅스텐 鋼 (텅스텐鋼)  
 "   高速度鋼 (고속도 鋼)  
7.85
7.1~7.30
7.86~7.848
7.75
7.62
7.79
7.60
8.05
8.70
스테인레스 鋼 SUS  27
               ''           28
               ''           29
               ''           32
               ''           33
               ''           35
               ''           36
               ''           37
               ''     39~40
7.9
7.9
8.0
8.0
8.0
8.0
8.0
7.7
7.9
스테인레스 鋼SUS  41~43
             ''                 50
             ''                 51
             ''                 52
             ''                 53
실            화             강
다       이       스        강
망            간             강
8.0
7.7
7.7
7.7
7.7
7.75
7.8
7.86~7.98

동과 동합금ㆍ니켈 및 니켈합금ㆍ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
 

품명
비중
품명
비중
품명
비중

동      주
동 판 관
동      선
황동 1종
활동 2종
황동 3종
청      동
인 청 동
청      동
고력황동
망 가 닌
8.9~8.93
8.622
8.815
8.895
8.6
8.5
8.4
8.735
8.6~8.95
7.787
8.30
8.3~8.9
콘    스   틴  턴
베    릴   륨  동
시 리 콘 청 동
동 크랏도 알루미늄
니               켈
니켈단(단조품)
니켈주(주조품)
모  빌   메   탄
니     크      롬
양              은
페로니켈(50%)
스프링 용량백판
8.9
8.3~8.8
8.8
3.65
8.8~8.9
8.687
8.285
8.906
8.15~8.4
8.4~8.78
8.2
8.6
알루미늄 99%
             76%
알루미늄     주
알루미늄 판/간
알루미늄     선
실              민
라     우      탈
듀   랄   르  민
알루미늄 합금(24ST)
알   루   미  늄
신              탈
알  드  라   이
2.71
2.80
2.569
2.699/2.681
2.702
2.70
2.90
2.8~2.85
2.80
2.70
2.80
2.70

 

스텐 비중

STS 304(27종)=7.93
STS 316. 316(32종 33종)=7.98
STS 310 S=7.98
STS 430(24종)=7.70

         알루미늄 = 2.72

  • 판재(사각형) : 가로 * 세로 * 길이 * 비중 /1,000,000 = 중량(kg)
  • 환봉(원 형)   : 반지름*반지름*3.14*길이*비중/1,000,000 = 중량(kg)
  • 파이프         : 외경-두께*두께*3.14*비중/1,000,000 = 중량(kg)
  • 육각형         : 맞변*맞변*길이*0.86603*밀도/1,000,000 = 중량(kg)

재질별 비중표

NO

재 질

비 중

1

 불소 고무

2

2

 석

0.056

3

 세라믹

2.5

4

 연

11.37

5

 우레탄 고무

1.25

6

 AC3A

2.66

7

 AC 3B

2.77

8

 Ag (은)

10.497

9

 Al (알미늄)

2.8

10

 ASBESTOS

0.93

11

 Au (금)

19.32

12

 Ba (바륨)

3.78

13

 BC (청동 주물)

8.71

14

 Be (베탈륨)

1.84

15

 Bi (비스무트)

9.8

16

 C (탄소)

2.25

17

 Ca (칼슘)

1.55

18

 CARBON

1.75

19

 CASTABLE

 

20

 Cd (카드뮴)

8.65

21

 Ce (세륨)

6.9

22

 Co (코발트)

8.9

23

 Cr (크롬)

7.09

24

 Cu (구리)

8.96

25

 EPOXY

1.27

26

 FC

7.33

27

 FCD

7.32

28

 FCMB

7.38

29

 Ga (갈륨)

5.91

30

 Ge (게르마늄)

5.36

31

 H₂O(물)

1

32

 HBsC

8.2

33

 Hg (수은)

13.6

34

 In (인듐)

7.31

35

 Ir (이리듐)

22.5

36

 K (칼륨)

0.86

37

 LBC 3(연청동 주물)

9

38

 LBC 4

9.17

39

 Li (리듐)

0.53

40

 Mg (마그네슘)

1.743

41

 Mo (몰리브덴)

10.2

42

 N.B.R

1.2

43

 Na (나트륨)

0.97

44

 Nb (니오브)

8.57

45

 Ni (니겔)

8.85

46

 Pb (납) 

11.34

47

 PBC

8.63

48

 Pd (팔라듐)

12

49

 PIANO WIRE

7.63

50

 PLASTIC

1.2

51

 Pt (백금)

21.43

52

 Rh (로듐)

12.4

53

 RUBBER

0.94

54

 S10C∼S50C

7.85

55

 SB

7.85

56

 Sb (안티몬)

6.62

57

 SC (크롬 강제)

7.61

58

 SCH

7.85

59

 SCM (크롬 몰리브덴강제)

7.77

60

 SCMnH

7.22

61

 SCR

7.77

62

 SCS

7.76

63

 Se (셀렌)

4.81

64

 SF

7.85

65

 Si (규소)

2.33

66

 Sn (주석)

7.3

67

 SNC 1,2,3

7.93

68

 SNC 21,22

7.81

69

 SNCM

7.85

70

 SS (일반 구조용 아연강제)

7.85

71

 STKM (기계 구조용 탄소강)

7.85

72

 SUS304 (배관용 스덴레스)

8.03

73

 Te (텔루르)

6.24

74

 TEFLON

1.38

75

 Th (토륨)

11.5

76

 Ti (티탄)

4.54

77

 U

18.7

78

 V (바나듐)

5.82

79

 W (텡스텐)

19.26

80

 WJ 1

7.38

81

 WJ 2

7.27

82

 WJ 3

7.33

83

 YBsC

8.56

84

 Zn (아연)

7.14

85

 Zr (지르코늄)

6.5

 

 

재료명 기 호 비 중 재료명 기 호 비 중
갈륨 Ga 5.91 스토론지늄 Sr 2.54
구리 Cu 8.96 아연 Zn 7.133
규소 Si 2.33 아티몬 Sb 6.62
Au 19.32 알루미늄 Al 2.699
나트륨 Na 0.97 알루미늄76S   2.8
Pb 11.34 알루미늄청동   7.787
땜납   8.3-9.5 청동   8.735
니오브 Nb 8.57 실리콘청동   8.8
니켈 Ni 8.902 인청동 Pb 8.78
다리움 Tl 11.8 Bl 9.76
당라리움 Ta 10.8 연강판 Ms 7.8~7.9
Cu 8.69 오수리늄 Os 22.48
고력황동   8.3 우라늄 U 18.7
동판 CuS 8.89 유황 S(a) 2.04
두랄루민   2.8 Ag 10.49
라듐 Pd 12 이리늄 Ir 22.5
리튬 Li 0.53 인듐 In 7.31
마그네슘 Mg 1.74 주석 Sn 7.2984
마두리움 Te 6.25 지르코늄 Zr 6.4
망간 Mn 7.43 질화강   7.75
모래   1.4 Fe 7.87
모리브덴 Mo 10.22 카드늄 Cd 8.65
모빌메탈   8.906 칼륨 K 0.88
바니지듐 V 6 칼슘 Ca 1.55
바륨 Ba 3.78 코발트 Co 8.9
백금 Pt 21.45 콘스탄탄   8.9
베륨 Be 1.848 크롬 Cr 7.19
비소 As 5.72 탄소 C 2.22
비스마스 Bi 9.8 텅스텐 W 19.3
세륨 Ce 5.5 티타늄 Ti 4.507
셀렌 Se 4.81 티탄판   4.54
수은 Hg 13.55 황동판1종 B5S 8.44
스텐레스 SUS304 7.9 황동판2종 B5S 8.4
스텐레스 SUS316 7.945 황동판3종 B5S 8.36

 

 

 

원소기호
비중
녹는온도
원소기호
비중
녹는온도
원소기호
비중
녹는온도
알루미늄
2.7
659
7.87
1530
아연
7.133
419
안티늄
6.62
630
구리
8.96
1083
비소
5.72
814
카드늄
8.65
320.9
11.36
327
규소
2.33
1420
19.32
1063
니켈
8.902
1452
황동판
8.73
910
10.49
962
백금
21.45
1750
황동봉
8.5
880
크롬
7.19
1800
비스마스
9.80
271.3
스탠304
7.9
1400
주석
7.2984
232
베륨
1.848
1350
스탠316
7.945
1400
텅스탠
19.3
3500
마그네슘
1.74
649
청동
9
970
탄탈늄
16.6
2850
망간
7.43
1260
티타늄
4.507
1800
몰리브덴
10.22
2450

 

 

광 물

 

품      명 비 중 품      명 비 중 품      명 비 중
자연금 15~19.32 마그네슘 1.74 아연(주) 6.872
자연은 10~12 마그비계다이카스트에레크레톤 1.8 아연(판) 7.209
자연백금 14~21.45 〃 도우메탈 1.8 황연 5.3~7.3
자연동 8.9~9.0 〃   A 1.8 아연계 다이가스트  #2 6.5
뽀기사이드 2.5~2.6 〃   D 1.84 아연계 다이가스트  #3 6.6
수정석 2.9~3.0 〃   E 1.78 아연계 다이가스트  #5 1.7
우라늄 U 18.7 〃   F 1.76 합석아연 7.1
세리움 Ce 6.9 〃   T 1.82 땜납 8.3~9.5
티탄 Ti 4.54 7.298~7.418 아연광 철선 7.8
니오브 Nb 8.57 11.34 아연광 강선 7.8
버나디움 V 6 연㈜ 7.368 비스무트(창연) 9.8
베릴륨 Be 1.82 연(판) 11.432 비스무트(주물) 9.822
만강 MN 7.43 아연 7.133~7.14 안티몬 (주물) 6.72
        안티몬 6.62~6.69

 

◆ 유 지

 

품      명 비 중 품      명 비 중 품      명 비 중
아마인유 0.99~0.94 콜탈 1.154 광유 0.885~0.912
올리브유 0.91~0.93 메탄올 0.7965 석유 0.89
피마자유 0.96~0.967 터빈유80호터빈 0.930 이하 콘파운드(아스팔트) 1.02
채종유 0.91~0.92 터빈유120호터빈 0.935 이하 수지식물유 1.15
대두유 0.924~0.926 터빈유140호터빈 0.940 이하 아스팔트무기질분 1.3
경유(고래) 0.917~0.927 터빈유170호터빈 0.940 이하 핏치 〃 1.4
벤졸(경유) 0.879 다이나모유 0.935 이하 수지 〃 1.2
輕(경유) 0.94 파이트다이나모유 0.930 이하 기지 〃 1.4
中(경유) 0.98 냉동기유 0.925 이하 아스팔트식물유광유 1.01
重(경유) 1.04 스핀들유 백스핀들유 0.905 이하 〃 무기질분 1.1
고급 휘발유 0.7 〃 A  〃 0.930 이하 광유,합성유수지 0.95
보통 휘발유 0.75 〃 B  〃 0.910 이하 트란스유 40℃ 0.852
흑구 휘발유 0.696 머신유 A 9.910 이하 골유 40℃ 0.876
알코올 99% 0.797 머신유 B 0.935 이하 글리세린 40℃ 1.252
알코올 95% 0.808 머신유 C 0.935 이하    
알코올 90% 0.822 머신유 특 0.935 이하    

 

◆ 수지, 고무, 지류, 기타

 

품      명 비 중 품      명 비 중 품      명 비 중
고밀도폴리에틸렌 0.941~0.965 비스코스 1.50~1.52 폴리프로필렌 0.91
중밀도 〃 0.926~0.940 규프라 1.5 폴리우레탄,스판텍스 1.0~1.3
저밀도 〃 0.910~0.925 아세테이트스테이플 1.32 폴리클랄 1.32
1.28~1.40 아세테이트필라멘트 1.32 벤조에이트 1.34
절록지 0.65~0.8(0.925) 트리로세테이트 1.3 방향족나이론(Aramid) 1.37~1.38
목선포 1.30~1.36 프로믹스아세테이트 1.22 페놀사스테이폴 1.27
나일론직물 1.15~1.19 나이론사 1.14 탄소섬유필라멘트 1.58~1.60
유리 1.4~1.9 포리에스텔사 1.38 (저탄성) 1.70~1.80
석면포 1.55~1.8 아크릴사 1.14~1.17 (고탄성) 2.1~2.2
고무 0.933 아크릴사스테이플 1.26 불소섬유필라멘트 2.5
마사 1.5 비닐론 1.26~1.30 유리섬유멀리필라멘트 1.4
1.33~1.45 비닐리덴 1.7 베크라이트(저,선포제) 1.8
선사 1.58 폴리염화비닐 1.39 〃 (유리제) 1.38
양모 1.32 폴리에틸렌,필라멘트 0.94~0.96 데도론사 1.38

석유화학제품 비중표
Specific Gravity


재 료 명

비중

재 료 명

비중

염화 비닐수지 경질

1.35~1.45

염화 비닐 연질

1.16~1.35

염화비닐 충진제

1.3~1.7

초산 비닐 수지

1.18~1.2

비닐 부틸랄 수지

1.05~1.2

비닐 포르말 수지

1.2~1.4

비닐 카르바졸 수지

1.2

염화 비닐덴 수지

1.68~1.75

폴리에틸렌 저밀도

0.91~0.925

폴리에틸렌 중밀도

0.926~0.94

폴리에틸렌 고밀도

0.941~0.965

폴리프로필렌 수지

0.90~0.91

폴리 스티렌 수지

1.05~1.07

스티렌 공중합체(AS)

1.08~1.00

스티렌 공중합체(ABS)

0.99~1.10

스티렌 공중합체(MMA=S)

1.13~1.15

메타크릴 수지

1.19

폴리아미드

1.09~1.14

폴리카보네이트

1.20

아세탈 수지

1.425

염화 폴리에에테르 수지

1.41

불소 수지

2.1~2.2

페놀 수지 성형재료 수분등

1.27~1.42

페놀 수지 성형재료 무기질

1.77~1.8

페놀 수지 성형재료 나일론

1.20~1.23

페놀 수지 성형재료 紙

1.34~1.38

페놀 수지 성형재료 布

1.29~1.38

페놀 수지 성형재료 아스베스트

1.78~1.82

페놀 수지 성형재료 그라파이트

1.34~1.38

페놀 수지 積層板 紙, 布

1.3~1.4

페놀 수지 積層板 아스베스트

1.6~1.8

페놀 수지 적층판 글라스

1.8~2.0

페놀 수지 적층판 나일론

1.2~1.3

유리아 수지 성형재료 a-셀룰로오스

1.47~1.52

멜라민 수지충진제무

1.48

멜리민 수지 성형재료 a-셀룰로오스

1.47~1.52

멜라민 수지 성형재료 아스베스트

1.70~2.00

멜라민 수지 성형재료 글라스 섬유

1.9~2.00

멜라민 테르 수지 충진제무

1.10~1.36

멜라민 테르 수지 성형재료 글라스섬유

1.36~2.10

멜라민 테르 수지 광물질

1.8~2.3

멜리민 테르 수지 성형재료 아스베스트

1.65

어닐린 수지

1.20~1.25

디알틸프탈레다트 수지

1.30~1.90

에폭시 수지 글라스 섬유

1.70~2.00

에폭시 수지 紙

1.3

실리콘 수지 글라스 섬유

1.6~1.9

실리콘 수지 아스베스트

1.75

푸란 수지 글라스 포

1.65~1.85

키실린 수지 지, 포

1.35~1.36

키실린 수지 글라스 포

1.86

아크릴 수지

1.18

폴리 비닐 알코올

1.26~1.30

폴리 에스테르 수지

1.38

양모

1.31

면사

1.55

 

 

 

주요 섬유의 비중  

면섬유
마섬유
양모섬유
견섬유
비스코스레이온
아세테이트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1.54
1.50
1.32
1.33∼1.45
1.50∼1.52
1.32
1.14
1.38

아크릴
모드아크릴
비닐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라이크라)
사란
비니온
유리

1.14∼1.17
1.31∼1.37
1.26∼1.30
0.91
1.21
1.70
1.34
2.55

 

 

무엇이 궁금하셨나요?
문제는 해결 되었습니까? 
출처 : 자연행복농장
글쓴이 : 두메산골 원글보기
메모 :

• CNC 자동선반 •

 

 

 

 

1) 출발 - 배면에 사각형 가공하기

  

역시 윤곽제어의 일종인 ‘극좌표보간’을 이용한 가공을 알아봅니다.

‘극좌표’라는 말에 주위를 기울일 필요는 없습니다. 프로그램에서는

실제로 극좌표계가 사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혼동을 일으키기 쉬운데, NC 내부적인 계산 공정에 극좌표가 사용되므로 극좌표 보간이라고 부를 뿐입니다. 실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좌표계는 평면 좌표계이므로 아주 손쉽게 프로그램 할 수 있습니다.

먼저 그 좌표계를 알아봅니다. 여기서는 원통보간에서와 같이 C 축이 등장하지만, 실제로는 각도가 아니고 Y 축과 같은 개념으로 보면 됩니다. 실제로 공구가 아래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으므로 가상축이라고도 합니다.

그 좌표계를 알아보기 전에 극좌표보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위 그림의 사각형이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가공이 되는지를 그림으로 살펴 봅시다. 가공 공정에서 움직이는 축은 공구 회전축을 제외하고, 서브스핀들의 각도위치를 제어하는 C 축과 서브의 X 축입니다.

 

 

 

 

2) 좌표평면과 공구경로

 

프로그램중 공정을 시작하기 위해,

M50 ;

G28 H0 ;

등의 블록들을 먼저 지령합니다.

그 후 G12.1 을 지령하면, 당시의 C 좌표(각도) 위치와 관계 없이 다음 그림과 같은 축 관계가 생성됩니다.

 

 

이 때 생성된 위의 그림과 같은 좌표계는 G13.1 의 지령이 나타날 때까지 유효하며, 공구의 움직임을 위해

중심에 기준한 좌표계입니다. 실제로 앞 페이지의 사각형을 가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데,

공구 경로는 아래 그림과 같이 좌표축의 밑그림을 그린 상태에서 결정합니다. (단, 여기서 사각형의 크기는

8.0x8.0mm 로 가정합니다.)

 

 

T2626 ;

G0 X-20. ; (1) (공구직경+재료직경+여유)

G0 Z-3.0 ;

M50 ;

G28 H0 ;

G12.1 ;

G41 G98 G1 X-14. F500 ; (1’) ((1)에서 공구직경을 뺀 치수)

C4.0 F500 ; (2)

X8.0 F100 ; (3)

C-4.0 ; (4)

X-8. ; (5)

C5. ; (6)

C10. F2000 ; (공구가 재료를 충분히 벗어 나도록 C 좌표 지정) (7)

G40 C12.0 ;

G13.1 ;

G28 W0 ;

 

위의 그림에서와 같은 방향일 때, G41 입니다. 반대 방향이 G42 입니다. 옵셋화면 에서 R 값은 공구의 반경값을

넣어 주시고, T 값은 0 을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주주의: 부품 중심에 가까울수록 피드값(F)의 한계가 줄어 듭니

다. 즉, 중심에서 먼곳에서 사용했던 피드값을 중심 근처에서 사용할 때 알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구

의 중심이 부품의 중심을 지나갈 수 없습니다. 역시 알람이 발생합니다.

 

 

 

3) 원호보간 방향과 인선R보정을 위한 주의

 

참고로 이 평면에서 원호보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때는 C 축을 Y 축과 같이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즉,

정상적인 X-Y 평면과 비교했을 때, 뒤집힌 모양이 되기 때문입니다.

 

 

 

상기 예제 프로그램에서는 G41 을 사용하였습니다. G41 을 사용하여 도면치수대로 프로그램을 하여야 하며,

그러지 않으면 공구 마모에 따른 보정이 힘듭니다. G41 이나 G42 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시작) 공구경로를

설정할 수 없습니다.

 

 

 

공구경로의 시작부분은 앞 페이지의 그림과 같이 설정해야 합니다. 실제 공구는 다음과 같이 움직입니다.

 

 

여기서 지점(1)과 지점(1’)의 관계를 살펴 보겠습니다. 지점(1) X-20.0 은 재료직경 12.0 + 공구경 6.0 + 여유공

2.0 입니다. 지점(1’) X-14.0 은 G41 이 지령된 뒤 다시 그 지점을 선언하는 것으로, 재료직경 12.0 + 여유공

2.0 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지령하면 안전하고 예측이 가능하며 비교적 짧은 경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여기서 (1’)을 생략하고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 하면, 아래와 같은 실제 공구 경로를 얻습니다.

 

G12.1 ;

G41 G98 G1 C4.0 F500 ; (2)

X8.0 F100 ; (3)

 

이런 불필요한 경로를 생략하려면, 위 예제 프로그램과 같이 지점(1’)을/를 지령하여야 합니다. 공구가 커질수록 이런 불필요한 경로는 시간상의 손실과 안전상의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정리:

이상에서 보듯이 극좌표보간은 X 와 가상의 C 축으로 이루어진 평면에 공구의 경로를 설정하여 그 좌표값으로

프로그램 하면, (극좌표를 사용하는 중간과정은 관여할 필요가 없이) 결과적으로 원하는 형상을 가공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앞서 언급 한대로 중간 계산과정에서 또 좌표 표시화면에서 극좌표계가 사용이 되지만, 프로그램을

작성하기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극좌표계는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상기의 예에서와 같이 X-C 로 이루어 지는

좌표평면에서 G41/G42 방향성을 고려하여 공구 경로를 설정하면 됩니다. 다시 한번 언급하자면, 여기서 C 는

각도가 아니며, 실제 존재하지 않지만 프로그램상 공구경로 구성에는 관여가 되는 축입니다. 그래서 가상축이

라고 부릅니다. 이 극좌표 보간을 이용하면, 위와 같은 단순한 형상 뿐만 아니라, 여러 복잡한 형상을 절삭할 수

있습니다.

 

 

 

 

• Turn/Mill •

 

 

CNC 자동선반 배우기, 복합 CNC 자동선반 배우기
출처 : 진정한 기능의 세계
글쓴이 : grnfield 원글보기
메모 :

' ◆ 극좌표 보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면 극좌표 보간 (G12.1/G13.1)  (0) 2012.07.12

1. 호칭경
호칭경은 수나사의 바깥지름의 굵기로 표시하며, 미터계 나사의 경우 지름 앞에 M자를 붙여 사용한다.
예) M1, M1.2, M1.4, M1.6, M1.8, M2, M3, M3.5, M4, M5, M6, M8, M10, M12, M16, M20, M24, M30
유니파이나사
: 호칭경을 인치에 대한 분수로 나타내지만 호칭경이 작은 것은 별도의 정해진 번호로써 표시한다.
호칭 나사산수/in 피치 (mm) 외경 (mm) 호칭 나사산수/in 피치 (mm) 외경 (mm)
No. 0
80 0.3175 1.524
1/4
20 1.2700 6.350
No. 1
64 0.3969 1.854
5/16
18 1.4111 7.938
No. 2
56 0.4536 2.184
3/8
16 1.5875 9.525
No. 3
48 0.5292 2.515
7/16
14 1.8143 11.112
No. 4
40 0.6350 2.845
1/2
13 1.9538 12.700
No. 5
40 0.6350 3.175
9/16
12 2.1167 14.288
No. 6
32 0.7938 3.505
5/8
11 2.3091 15.875
No. 8
32 0.7938 4.166
3/4
10 2.5400 19.050
No. 10
24 1.0583 4.826
7/8
9 2.8222 22.225
No. 12
24

1.0583

5.486
1
8 3.1750 25.400
주) 위 규격은 유니파이 표준나사에 대한 규정임(피치는 나사산수/inch를 mm로 환산한 것임)
호칭 1"초과값도 있으나 본 자료에서는 생략함.
 
2. 피치
피치란 나사 1회전시 전진 거리를 의미하며 산과 산의 거리입니다. 각 호칭경에 따라 선택 가능한
나사 피치의 종류가 보여 지며 각 호칭경에 따라 정해진 피치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 0.25, 0.3, 0.35, 0.4, 0.45, 0.5, 0.6, 0.7, 0.8, 1.0, 1.25, 1.5, 1.75, 2.0, 2.5, 3.0, 3.5
미터나사의 호칭경 크기별 표준 피치예
크 기
M1
M1.2
M1.4
M1.6
(M1.8)
M2 M2.5 M3 M4 M5 M6 M8 M10 M12
피 치 0.25 0.3 0.35 0.4 0.45 0.5 0.7 0.8 1.0 1.25 1.5 1.75
크 기
M16
M20
M24 M30
M33
M36
(M39)
M42 M48 M56 M64, M72, M80, M90, M100
피 치 2.0 2.5 3.0 3.5 4.0 4.5 5.0 5.5 6
 

※ 유니파이나사
- 인치나사의 표준으로서 미국, 영국, 캐나다등지에서 주로 사용된다.
. 나사산의 각도는 미터나사와 같이 60도이나 호칭경의 지름을 인치로 나타내며, 피치는 1인치당의 나사산수
. 로나타내거나, 1인치를 나사산수로 나눈값을 사용한다.

유니파이 나사의 호칭경 크기별 표준 피치예
크 기 No 1 No 2 No 4
No 5
No 6
No 8
No 10 1/4 5/16 3/8 1/2 1 3/8 7/16
피 치 64 56 40 32 24 20 18 16 13 8 16 14
크 기 1/2 9/16 5/8 3/4 7/8 1 1-1/8
1-1/4
1-3/8
1-1/2
1-3/4 2
2-1/4
2½ 이상
피 치 13 12 11 10 9 8 7 6 5 4.5 4

 

 

 

 

    blue08_next.gif 인치(inch) ↔ 미리미터(mm)규격환산표

     

 

mm규격

유니파이인치규격

크기

직 경

일반피치
(mm)

가는나사

크기

인치당나사산

밀리환산

mm

인치

거친나사
(UNC)

고운나사
(UNF)

M1

1

 

0.25

 

#0

 

80

1.58

1.4

1.4

 

0.3

 

#1

 

72

1.85

1.6

1.6

.063

.35

 

#2

56

64

2.18

2

2

.079

.4

 

#3

48

56

2.51

2.5

2.5

.098

.45

 

#4

40

48

2.84

3

3

.118

.5

 

#5

40

44

3.17

4

4

.157

.7

 

#6

32

40

3.50

5

5

.197

.8

 

#8

32

36

4.31

6

6

.236

1.0

 

#10

24

32

4.82

8

8

.315

1.25

1.0

1/4"

20

28

6.35

10

10

.394

1.5

1.25

5/16

18

24

7.93

12

12

.472

1.75

1.25

3/8

16

24

9.35

14

14

.551

2

1.5

7/16

14

20

11.31

16

16

.630

2

1.5

1/2

13

20

12.7

18

18

 

2.5

1.5

5/8

11

18

15.87

20

20

.787

2.5

1.5

3/4

10

16

19.30

24

24

.945

3.0

2.0

7/8

9

14

22.32

30

30

1.181

3.5

2.0

1

8

12

25.34

36

36

1.417

4

3.0

1⅛

7

12

28.35

42

42

1.654

4.5

3.0

7

12

31.75

 

 

 

 

 

6

12

38.1

 

 

 

인치(inch)

인찌읽는법

미리미터(mm)

1/8"

이찌브

M3.17

5/32

니링

3.97

3/16

이찌브고링

4.76

1/4

니브

6.14

5/16

니브고링

7.94

3/8

삼부

9.52

7/16

삼부고링

11.1

1/2

욤부

12.7

9/16

욤부고링

14.3

5/8

고부

15.9

3/4

로쿠부

19.0

7/8

나나부

22.2

1"

인치

25.4

 

표면거칠기(조도)
     측         정

 표면거칠기(粗度) 측정

기계부품의 기능은 그 표면상태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최적의 성능을 갖는 기계의 설계를 위해서는 설계자와 가공자가 표면의 성질에 대하여 충분한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한다. 표면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은 표면거칠기, 잔류응력, 변질층 등이 있으나 여기에서는 표면거칠기의 측정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금속표면은 주조, 소성가공, 용단(熔斷), 절삭가공 등에 의하여 크고 작은 불규칙한 요철(凹凸)로 되어 있고, 이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용어가 사용된다.

 

  1. 표면(表面; surface): 한 물체가 다른 물체 또는 물질과 분리되는 경계면 이다.
  2. 이상표면(理想表面; normal surface): 이론적으로 정확한 면으로서, 일반적으로 설계도면에 표시되는 면이다.
  3. 표면의 불규칙성(surface irregualities): 이상표면으로부터 일탈 정도로서, 표면거칠기 및 파상도로 표시한다.
  4. 단면곡선(斷面曲線; unfiltered profile): 측정면의 평균 표면에 직각인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 그 면의 윤곽선을 말하며,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조도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곡선을 단면의 윤곽선이라 한다.
  5. 조도곡선(粗度曲線; roughness profile): 단면곡선으로부터 저주파 성분의 불규칙한 것을 제거하는 방법에서 정해지는 곡선이다.
  6. 파상도(波狀度; waviness): 깊이에 비하여 큰 간격으로 반복되는 이상표면으로부터의 일탈 편차(偏差)로서, milling cutter의 편심, 공작기계 또는 공구의 진동 등에 의하여 생긴다.
  7. 파상도 높이(波狀度高; waviness height): 연속되는 파상선(波狀線; wave)의 산(peak)과 골(valley)간의 거리이다.
  8. 파상도폭(waviness width): 연속되는 파(波; waveness)의 산과 산 또는 골과 골간의 거리이다.
  9. lay 또는 lay direction: 절삭공구의 작용에 의하여 생기는 자국의 방향이다.
  10. flow: 불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균열(crack), 기공(blow hole), 긁힘(scratch) 등을 말하며, 특별한 지시가 없으면 표면거칠기의 측정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11. 표면거칠기(粗度; roughness): 상대적으로 작은 범위에서 표면의 요철의 정도로서, 파상도에 중첩되며 높이, 폭, 방향이 표면거칠기의 형상을 정해 준다.
  12. 평균선(最小自乘平均線; mean line): 단면곡선(profile) 또는 거칠기 곡선의 채취 부분에서 측정면의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선으로서 단면곡선까지의 편차의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는 직선이다.

    평균선

     

  13. 중심선(中心線; centerline, arithmetric mean line of profile): 평균선에 평행하며 단면곡선으로 둘러싸인 상하 면적이 같게 되는 위치의 직선이다.

    중심선

     

  14. cut-off 값: 조도곡선을 구할 때 감쇠율이 -12dB/oct의 고역 filter의 사용에서 그 이득이 75%가 되는 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으로서 0.08, 0.25, 0.8, 2.5, 8.25mm로 되어 있다.

용어 정의 및 조도의 기록법

(1) 조도 표시법:

 

(1-1) 중심선평균조도(中心線 平均粗度; arithmetical average roughness, centerline average roughness):

중심선에서 단면곡선까지의 평균 높이로서 Ra, CLA, AA의 기호로 표시한다.

 

중심선평균조도

cut-off의 표준값은 0.8mm 이며, 조도의 표시 단위는 mm, μmRa, λc...mm이며, 다음 표를 참조하라.

(1-2) 최대높이조도(最大높이粗度; maximum height roughness):

채취 부분의 기준길이(cut-off) 내의 조도곡선에서 중심선에 평행하고 그 곡선의 최고점과 최저점을 지나는 두 평행선간의 상하 거리로 조도의 크기를 나타내며, cut-off는 위의 표와 같다.

최대높이조도

 

(1-3) 10 점평균조도(十點平均 粗度; ten point median height):

KS에서는 채취 부분의 기준길이(cut-off) 내의 조도곡선에서 제일 높은 곳에서부터 3번째의 봉우리와 가장 낮은 쪽에서 순번대로 3번째의 골을 지나고 중심선에 평행한 2선간의 거리로 나타내고, ISO에서는 제일 높은 봉우리에서 5번째까지의 평균 높이와 제일 낮은 골에서 5번째까지의 평균 골깊이 사이의 거리로 나타내는 조도 표시법이다. 10점평균조도 Rz는 다음과 같이 구하며 cut-off와 Rz의 단위는 위의 표와 같다.

 

10 점평균조도

 

Rmax, Rz, Ra 및 삼각기호의 관계는 다음 표와 같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