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NC 자동선반 •
윤곽제어의 일종인 원통보간을 이용하는 방법을 살펴 봅니다. 원통보간은 크로스 공구로 원통면에 가공을 하는 것으로, Z 축과 C 축을 이용합니다. 개념적으로는 원통면에 글자를 마킹하는 것과 같습니다. 실제로 원통보간으로 볼엔드밀등을 이용하여 상표나 사양을 마킹하기도 합니다. 여기서는 개념적 접근을 위해 아래 펼친 그림과 같이 간단한 제품을 가공하는 것으로 하고 공정 프로그램을 알아 봅니다.
도면의 각도 표시와 마찬가지로 기계에서 C축 좌표는 각도로 지정합니다. C축의 방향은 위 그림 오른쪽과 같고, 그림과 같이 Y 축이라 간주하고 G02 와 G03 의 방향을 잡으면 됩니다. 원통보간 시의 좌표계를 좀 더 자세히 나타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공정 진행 순서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입구의 2-R0.5 는 원통보간을 쓰지 않고 Y-Z 평면을 이용하여 가공합니다.
원통위에서 공구경로가 진행되고 NC 가 통제하기 때문에 원통보간이라고 합니다. 그림에서 본 바와 같이 C 축을 명령하면, 회전 방향으로 축이 움직이게 됩니다. 해당 G 코드는 G107(G7.1)이며 형식은,
여기서 C 와 H 에 따라오는 값은 피드 계산을 위한 원통의 반지름입니다. 0 의 값으로 다시 한번 선언하면 원통보간이 종료됩니다. (원통보간중에 프로그램이 중단 되면,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하기 전에 MDI 에서 ‘G7.1 H0’를 선언하거나, 프로그램 서두에 넣어서 초기화 해야 합니다.) 여기서 C 나 H 도 별다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이 원통 반지름을 표시하며 기능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는 역할을 할 뿐입니다. 원통보간 모드에서는 급이송(G0), 회전당이송(G99)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인선 R보정(G41/G42)을 사용하려면 원통보간 모드 중에 시작하고 끝내야 합니다.
• Turn/Mill •
|
CNC 자동선반 배우기, 복합 CNC 자동선반 배우기